출장 중이거나 유선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는 모바일 핫스팟을 통해 프린터를 연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무선 프린터가 보편화된 2025년에는 더 흔한 방식이 되었지만, 여기엔 보안상 심각한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2. 어떤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
- 비인가 접근: 핫스팟이 개방형이거나 비밀번호가 약하면, 누구든지 프린터에 접근해 문서를 출력하거나 스캔 기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중간자 공격: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악의적 사용자가 트래픽을 가로채거나 위조 인쇄 명령을 보낼 수 있습니다.
- 프린터 펌웨어 해킹: 네트워크에 접속한 프린터의 IP를 통해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설정을 변경하거나 정보 유출 가능성 존재
- 프린터에 저장된 민감 정보 노출: 출력 대기 문서, 스캔 파일이 내부 저장소에 남아 있을 수 있음
3. 프린터 해킹 실제 사례
2024년 말, 한 유럽 회사에서는 프린터를 모바일 핫스팟에 연결한 후 사내 문서 1,000여 건이 외부로 전송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원인은 프린터 관리자 페이지에 대한 비밀번호 미설정과 암호화되지 않은 연결이었습니다.
4. 모바일 핫스팟 환경에서의 보안 대책
1) WPA2 이상 암호화 설정 필수
핫스팟을 열 때 반드시 WPA2 또는 WPA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고,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세요. 숫자/영문/특수문자 조합이 이상적입니다.
2) 프린터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프린터의 웹 관리자 페이지에 기본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즉시 설정하세요. 제조사별 초기 IP 주소(예: 192.168.0.100)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므로, 방치할 경우 위험합니다.
3) 사용 후 핫스팟 자동 OFF 설정
인쇄 작업 후에는 핫스팟을 즉시 종료하고, 프린터도 전원을 꺼서 외부 접근을 차단하세요.
4) 방화벽 또는 VLAN으로 프린터 분리
고급 사용자의 경우, 프린터를 별도의 게스트 네트워크로 분리하거나 모바일 장비와 VLAN 구성을 추천합니다.
5. 제조사별 보안 설정 지원 기능
- HP: Secure Boot, PIN 인쇄 기능, 관리자 계정 보호 기능 내장
- Canon: 비인가 접근 차단 설정, 관리자 권한 분리 기능
- Brother: Secure Function Lock, IP 필터링 기능
- Epson: WPA3 지원, 보안 인증서 등록 기능 제공
6. 결론: 모바일 환경에서도 프린터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
프린터는 단순한 출력 장비가 아니라,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IoT 장치입니다. 특히 모바일 핫스팟 환경처럼 불안정하고 공개적인 네트워크에서는 기본적인 보안 조치만으로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작은 습관이 정보 유출을 막는 첫걸음입니다.